
심장협심증의 종류 및 검사
협심증이란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이 좁아져 심장 근육으로 혈액 공급이 요구량에 미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협심증의 종류
1. 안전형 협심증
안전형 협심증은 동맥경화로 인해 관상동맥이 좁아져서 발생하게 되며, 활동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아 심장의 요구량이 늘어날 때 발생하게 됩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이나 고혈압, 당뇨병을 가진 사람들이 생길 위험성이 높으며, 심혈관계 가족력, 흡연, 음주가 협심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2. 불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동맥경화반이 파열되고, 이로인해 혈전이 생겨 갑자기 관상동맥이 좁아져 발생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관상동맥이 심하게 좁아지면서 발생하게 되므로, 통증의 빈도가 증가하거나 안정시에도 가슴통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불안정형 협심증의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심장마비에 의한 급사나 급성 심근경색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질환입니다.
3. 이형 협심증
대부분의 협심증은 동맥경화증에 의해 발생하게 되지만, 이형협심증은 관상동맥이 일시적으로 수축하여 좁아져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이형 협심증의 경우 주로 관상동맥이 수축되기 쉬운 밤과 새벽 시간에 음주 후 발생하게 됩니다.
심장협심증의 증상은??
협심증이 있으신 분들은 빨리 걷거나 계단을 올라갈 때, 언덕을 오르거나 물건을 들 때 등 심장이 많은 일을 해야 할 때 특징적으로 가슴통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또한 활동을 멈추고 안정을 취하게 되면 흉통은 사라지게 됩니다. 이형협심증의 경우 혈관이 수축하기 쉬운 밤이나 새벽 사이나 음주 후 주로발생하며, 지속기간도 전형적인 협심증보다 더 긴 것이 특징입니다.
협심증 검사
1. 심전도 검사 : 심장박동 때 일어나는 전기적 신호를 전류에 의해 파형으로 기록하여 안정 시, 심근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2. 심장초음파 검사 :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초음파를 사용하여 관찰함으로써 심장질환의 진단, 추적관찰 및 향후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3. 운동부하검사 : 환자의 가슴에 심전도 전극을 부착한 후, 벨트 위에서 운동하도록 하여 혈압, 심박동수 및 심전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로 협심증과 부정맥을 진단하고 심장병 환자의 운동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4. 운동부하심초음파 : 운동부하검사 전후로 심장초음파를 시행하여 심근벽의 변화, 판막질환의 정도, 심장의 압력변화 등을 확인하여 협심증, 판막질환, 운동시 호흡곤란에 대하여 운동부하검사 보다 정확한 검사가 가능합니다.
심장혈관전문 "가슴편한내과"
1. 소화기, 호흡기, 신장기 질환 등의 일반내과 진료도 다른 내과의원과 같이 편하게 받으시면서 심혈관문제가 관련되었을 경우 더 세밀하게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2. 대학병원급 진료시스템과 미국 심장질환분야에서 가장 앞서있는 메이오클리닉 심혈관센터 RESEARCH FELLOW를 역임한 이경진 원장님의 (의학박사) 1:1 맞춤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대학병원급의 전문 감사 장비를 통해 고객의 특성에 맞는 검사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4.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과의 특화된 협진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