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목 | 심장협심증 초기증상,방치하면 심근경색으로 이어져 | 
|---|---|
| 조회수 | 2378 | 
| 
 지난 5년간 해마다 4% 가까이 증가하고 있는 심장 협심증.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민 100명 중 1명이 협심증 증상으로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협심증을 방치하면 심근경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심장 협심증이란? 
 
 
 
 
 
 
 
 
 심장협심증 진단 절차는? 
 01. 병력청취 및 이학적 검사(진찰) : 환자의 성별, 나이,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여부, 나타나는 증상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검사의 범위를 정하게 됩니다. 
 
 
 < 심전도 검사 > 
 
 02. 기본적인 내과적 검사 : 혈액/소변검사, 흉부X-ray, 심전도 검사 등을 통해 심장 외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심장질환의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게 됩니다. 
 
 < 심장초음파 검사 > 
 03. 심장 정밀 검사 : 심장초음파를 통해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하여 심장질환을 진단합니다. 심장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후 보다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운동부하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운동부하심초음파 검사 > 
 
 * 협심증 진단을 위해 운동부하심초음파 검사가 중요한 이유는? 
 협심증이 있어 심장 혈관이 70% 가량 좁아지기 전까지는 안정시에는 증상이 없거나 모호할 수 있고 일반적인 심장초음파 검사에서 진단이 안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장이 일을 많이 하는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서 검사해야 협심증 진단을 정확히 할 수 있는데 운동부하심초음파 검사는 이러한 이유로 협심증 진단에서 중요한 검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 "협심증"진료 
 가슴편한내과에서는 협심증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을 경우 기본적인 내과적 검사 뿐만 아니라 대학병원급 검사 시스템을 통해 심장질환을 좀 더 세밀하게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협심증 문제로 진료받으시는 분들 중, 시술이나 수술이 꼭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가장 유능한 대학병원 의료진에게 수술 의뢰를 해드리며, 시술이나 수술 후 다시 본원에서 내과적 치료를 편하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는 대학병원급 진료 시스템과 심장내과 전문의 이경진 원장님의 1:1 맞춤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