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흡곤란 진단 및 검사
숨이 부족하게 쉬어지는 느낌, 답답한 느낌, 숨찬 느낌, 가슴이 조이는 느낌 등과 같이 호흡곤란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호흡곤란은 심장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그외의 내과적 질환으로 인해 심장이 이차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호흡곤란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내과적 문제 및 심리적인 문제 등을 종합하여 파악하도록 해야 합니다.
호흡곤란 진단
호흡곤란의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심장 및 폐의 기능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일반적인 내과검사 외에 다음과 같은 호흡곤란 진단을 위한 정밀검사를 시행한 후, 최적의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호흡곤란 검사 1. 폐기능검사
안정시 기도를 드나드는 공기의 양, 속도, 구성성분이나 호흡에 의한 폐의 변화를 측정하여, 기관지 및 폐의 전반적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
호흡곤란 검사 2. 심장초음파
초음파를 사용하여 심장의 형태와 움직임, 심장내 혈액의 흐름 등을 관찰하는 검사
호흡곤란 검사 3. 운동부하심초음파
가슴에 심전도 전극을 부착한 후 밸트 위에서 운동하도록 하여 혈압, 심박동수 및 심전도 변화를 관찰하여 협심증과 부정맥을 진단하고 심장병 환자의 운동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운동부하검사 전후로 심장초음파를 시행하는 검사
* 운동부하심초음파를 하는 이유는 호흡곤란의 원인 중 하나인 협심증을 진단하는데 가장 큰 도움이 되지만 여러 검사를 통해 호흡곤란의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경우 원인일 수 있는 운동시에만 심해지는 판막기능 이상, 운동시에만 나타나는 심장내부의 압력상승 등을 진단하는데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심혈관전문 "가슴편한내과"
1. 대학병원급의 전문 감사 장비를 통해 고객의 특성에 맞는 검사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2.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과의 특화된 협진 시스템 운영
3. 소화기, 호흡기, 신장기 질환 등의 일반내과 진료도 다른 내과의원과 같이 편하게 받으시면서 심혈관문제가 관련되었을 경우 더 세밀하게 진료받으실 수 있습니다.
4. 대학병원급 진료시스템과 미국 심장질환분야에서 가장 앞서있는 메이오클리닉 심혈관센터 RESEARCH FELLOW를 역임한 이경진 원장님의 (의학박사) 1:1 맞춤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