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왼쪽가슴통증 검사 |
---|---|
조회수 | 5721 |
가슴 부위에는 심장, 허파, 식도 뿐만 아니라 상복부 갈비뼈 등이 있어 가슴통증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가슴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살펴보면 위장관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하나, 중대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협심증을 포함한 심장질환도 그 다음으로 흔한 원인입니다. 그러므로 왼쪽가슴통증이 생겼다면 먼저 심각한 심혈관계질환으로 생긴 가슴통증일 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해보아야 합니다. 가슴통증과 심혈관계질환의 관계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위험도가 높아지는 위험인자
- 남자 45세 이상, 여자 55세 이상인 경우 - 가슴통증을 호소하는 본인이 담배를 피우거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하지허헐 등의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 - 심혈관계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위와 같은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에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으로 알려진 심각한 질병이 가슴통증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가슴통증 진료
심장분야 전문의의 진료를 받을 때에는 심혈관계 위험인자 여부, 나이와 증상, 검진 당시에 측정하는 혈압, 청진기를 이용한 흉부 청진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심각한 질환이 있을 가능성을 검토하고, 시행할 검사의 범위를 정하게 됩니다.
심혈관계 질환의 가능성이 낮을 경우 가슴사진이나 심전도와 같은 간단한 검사만 시행하며, 가능성이 높을 경우 심장초음파 검사와 운동부하심초음파 등의 정밀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운동부하심초음파는 운동부하검사 전후로 심장초음파를 시행하여 심근벽의 변화와 판막질환의 정도, 심장의 압력변화 등을 직접 확인하여 운동부하검사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검사가 가능합니다. * 가슴통증이 있을 때, 운동부하 심초음파를 꼭 검사해야 하는 이유
심장혈관이 70%가량 좁아지기 전까지는 안정시 증상이 없거나 모호할 수 있고, 일반적인 심장초음파에서 진단이 안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장이 일을 많이 하는 인위적인 상황을 만들어야 협심증 진단을 정확히 할 수 있는데 운동부하심초음파는 그러한 이유로 일반 심장초음파와 함께 검사해야 합니다. 심장혈관전문 "가슴편한내과"
최근, 심혈관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사망원인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실제로 심장질환이 걱정되어도 막상 편하게 갈 만한 병원이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가슴편한내과에서는 이러한 환자분들의 현실적, 의학적 요구를 반영하여 일반내과 진료도 편하게 받으시면서 심장혈관문제가 관련되었을 경우 대학병원급 검진 및 진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가슴편한내과는 여러분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하여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